지게차 필기 10분 정리 및 합격
본문 바로가기

투자/자동차 유지비용 줄이기

지게차 필기 10분 정리 및 합격

728x90
반응형

지게차 실기 접수

지게차 면허증 발급

 

 

 

얼마 전, 지게차기능사 필기를 쳤습니다. 운전면허보다는 어렵지만 그래도 합격하기 어렵지 않다고 들었지만 

막상, 시험 하루 전과 시험장에서 긴장이 많이 됐습니다. 

 

저는 이미 필기를 합격했지만, 필기를 준비하시는 분 중에 저처럼 긴장되시거나 공부시간이 부족하신 분들을 위해

공부했던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게차 조향바퀴 정렬 요소

타이어식 건설기계에서 조향 바퀴의 얼라인먼트 요소

1.토인( toe-in)

2.캠버(camber)

3.캐스터(caster)

 

 

지게차는 후륜 조향

->지게차는 전륜 구동, 차동기어 차축에 위치

 

 

화물 적재하고 주행 , 포크와 지면과의 간격?

->20 ~ 30 cm ( 실기 시험에서도 중요)

 

 

 

화재 분류

A 화재: 일반 가연물 ex) 나무

B 화재: 유류 화재 ex) 휘발유, 경유

C 화재: 전기 화재 ex) 단선에 의한 화재

D 화재: 금속 화재 ex) 공장에서 금속 작업  폭발  화재 사고

원소 주기율표 1 원소들 ( Li , Na, K )

 

 

연소의 3요소

산소  / 점화원 ( 스파크, ) / 가연성 물질

 

지게차 후진 방향으로 서서히 화물에 접근시키거나 빠른 유압 작동으로 신속히 화물을 상승 또는 적재 시킬 사용하는 것은?

-> 인칭조절 페달

 

 

지게차 마스트 전경   / 후경각

-> 5 ~ 6 / 10~12

 

 

지게차 일반적 변속 단수

->1~2

 

 

지게차 감속 기어

->베벨기어 또는 하이포이드 기어

 

 

에틸렌글리콜?

-> 냉각수로 쓰인다

 

 

 

 

텐덤 마스터 실린더? (제동계통)

 

-> 2개의 실린더를 결합하여 각각 앞바퀴 제동과 뒷바퀴 제동을 담당하게 한다

그래서 하나의 실린더가 고장나도 제동력이 남아있게 만드는 장치

 

 

지게차가 현가장치(서스펜션 또는 스프링) 없는 이유

-> 화물 작업 , 서스펜션의 진동으로 인한 화물 낙하를 방지를 위해

현가장치가 없다. 그래서 지게차는 주로 저압 타이어를 사용한다

 

 

변속기의 필요성

기관의 회전력을 증대

시동 장비를 무부하 상태로 한다

장비의 후진 필요

 

 

 

 

실린더 블록과 헤드 사이 기밀 유지?

헤드 개스킷 -> 파손 냉각수에 엔진 오일 혼합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29082&cid=51389&categoryId=51389

 

 

 

 

블로 바이?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로 가스가 크랭크실로 새는

 

 

전류의 3 작용

-> 화학작용 / 발열작용 / 자기작용

 

 

 

윤활유의 SAE

점도에 의한 분류로 SAE번호가 높을수록 점도가 높다

-> SAE 높을수록 온도가 높은 장소 혹은 시기에 쓴다

-> SAE 작을수록 온도가 낮은 장소 혹은 시기에 쓴다

 

쇼핑몰에 엔진오일만 쳐도 제품의 SAE번호를 있다

그리고 네이버에 sae 점도를 치면 많은 정보를 얻을 있다

 

 

표지는 교통안전표지와 안전보견표지 2가지로 나뉘며 교통안전표지는 주의, 규제, 지시 세 가지 종류가 있으며

안전보건표지는 금지, 경고, 지시, 안내 표지 4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교통안전표지 (주의, 규제, 지시)

안전보건표지 (금지, 경고, 지시, 안내)

 

 

 

교통안전표지 (주의, 규제, 지시)
안전보건표지 (금지, 경고, 지시, 안내)

시험문제는 표지가 어떤 모양, 어떤 바탕색, 어떤 조합으로 이루어져있는지를 묻습니다

ex) 

 

교통안전표지

 

주의(적색 테두리, 노랑 바탕)

규제(적색 원형)

지시(청색 원형)

 

 

안전보건표지

금지(적색 원형)

경고(노랑 바탕)

지시(청색 원형)

안내(녹색과 흰색 조합)

 

 

 

타이어 표시방법

고압타이어 타이어 외경 X 타이어 - 플라이수

저압타이어 타이어폭 x 타이어내경-플라이수

승용차타이어 타이어 - 높이/ 비율 - 타이어 내경

 

 

직류발전기 특징

출력이 커지면 크기와 중량이 급격히 증가

발전기 고장율이 높다

정류자와 브러쉬의 마모가 커서 수리가 잦다

고속회전을 위해서는 조정기라는 장치가 필요하다

 

 

교류발전기의 특징

소형 경량이 가능하다

수명이 길다

고속회전에 견딘다

 

 

연삭기 (그라인더)  방호장치?

덮개: 숫돌 조각들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

 

 

지게차 안전수칙

내리막길에서는 브레이크를 밟으면서 서서히 주행

화물을 싣고 경사지를 내려갈 때는 후진으로 운행

이동 포크는 지면에서 20 ~ 30cm 올린다

화물에 의해 전면의 시야가 방해받을 때는 후진으로 운행

마스트를 충분히 뒤로 기울인 상태에서 포크 높이를 지면으로부터 20 ~ 30cm  유지하며 운반

경사로를 올라가거나 내려올 때는 적재물이 경사로의 위쪽을 향하도록 하고 경사로를 내려오는 경우에는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천천히 내려온다

화물을 적하 마스트를 앞으로 4 기울인다

주차브레이크 체결하고 전후진 레버를 중립, 저고속 레버는 저속 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시동을 정지한다

시동키는 운전자가 지참하여 관리한다

 

CRDi ( Common Rail Direct Injection)

구형 싼타페나 쏘렌토 뒤쪽 오른쪽에 있는 것을 있다

CRDi엔진이라는 뜻으로 디젤엔진의 혁명과도 같은 기술이다

기술 덕분에 디젤엔진은 연료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한편, 질소산화물과 같은 반응물 배출을 줄일 있었다

 

기술의 핵심은 실린더 안개처럼 미세하게 연료를 뿌려 연료의 표면적을 최대한 넓혀 폭발행정시 연료효율을 높이는 한편 불완전연소를 줄이는 기술이다

 

연료탱크 -> 저압펌프 -> 연료필터 -> 고압펌프 -> 커먼레일 -> 인젝터 -> 실린더

디젤엔진의 고압펌프 그리고 인젝터가 굉장히 고가이다 -> 디젤차량의 아낀 기름값이

수리값으로 들어가는 때문에 생긴 말이다

 

 

 

지게차 종류 1

 

3단 마스트 : 마스트가 3단으로 높이 올라갈 수 있다

하이 마스트 : 마스트가 2단으로 높이 올라갈 수 있다

사이드 시프트 마스트 : 포크가 좌우로 이동 가능

 

 

 

지게차 종류 2

 

 

로드스테빌라이저 마스트 : 위쪽 압착판을 이용해 화물 낙하 방지 

힌지드 버킷 마스트 : 석탄, 소금 운반

힌지드 포크 마스트 : 포크가 45도 휘어져 있고 원형 목재와 파이프를 운반한다 

 

 

 

 

 

 

유압 제어 밸브

압력 제어 밸브  : 일의 크기를 제어

유량 조절 밸브: 일의 속도 제어

방향 제어 밸브: 일의 방향을 제어

 

릴리프(안전) 밸브 ( 펌프와 제어밸브 사이 설치, 일정 압력 유지하여 기기 보호) / 리듀싱(감압) 밸브 / 시퀀스(순차) 밸브 / 언로더(무부하)밸브 (설정 압력될 탱크로 유량을 회송시켜 펌프를 무부하 상태로 만드는 빌브 / 카운터밸런스(완충)밸브-> 압력제어 밸브

교축/오피리스/분류/니들 밸브 -> 유량제어

체크 밸브 (유압유의 역류 방지) / 스풀밸브 / 셔틀밸브 / 디셀러레이션 밸브-> 방향제어 밸브

 

2 이상의 분기회로를 갖는 회로 내에서 작동 순서를 회로의 압력 등에 의하여 제어하는 밸브?

시퀀스 밸브

 

자체중량에 의한 자유낙하를 방지하고 배압을 유지한다

카운터밸런스(완충) 밸브

 

유압 오일에서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정도를 표시?

점도지수

점도지수가 오일은 온도 변화가 적고

점도지수가 작은 오일은 겨울철 점도 변화로 시동저항이 생길 있다

 

 

펌프의 공동현상과(Cavitation) 맥동(Surging)

공동현상

기포가 과포화 상태

급격한 압력파

유압장치 내부 국부적인 고압 발생 소음과 진동 발생

오일 필터의 여과 입도가 너무 조밀할 발생하기 쉬운 현상

 

 

유압펌프

기어 펌프 / 베인 펌프/ 플런저 펌프

 

기어펌프

소형이며 구조가 간단

플런저 펌프에 비해 효율이 낮다

초고압에는 사용이 곤란

 

유압 실린더 교환 조치 작업

공기 빼기 작업

누유 점검

시운전

 

 

건설기계조종사 면허가 취소되거나 정지 처분을 받은 건설기계를 계속 조종한 자에 대한 벌칙

1 이하의 징역 또는 1,000 이하의 벌금

 

건설기계관리법령상 건설기계 검사의 종류

구조변경검사

수시검사

신규등록검사

정기검사 지게차 2년

 

 

 

건설기계 조종사의 면허취소 또는 정지 사유?

면허증을 타인에게 대여한

조종 과실로 중대한 사고를 일으킬

면허를 부정한 방법으로 취득하였음이 밝혀졌을

고의로 인명피해를 입힌

면허의 효력정지 기간 건설기계를 조종한 경우

 

 

건설기계 관리법 정기검사 유효기간

지게차 2

덤프트럭 1

로더 2

아스팔트 살포기 1

 

건설기계 형식승인

국토부장관

 

등록되지 아니한 건설기계를 사용하거나 운행한 벌칙?

2 이하의 징역 또는 2000 이하의 벌금

 

건설기계관리법상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건설기계 사업을 하거나

거짓으로 등록을 한자에 대한 벌칙은?

2 이하의 징역 또는 2000 이하의 벌금

 

건설기계 신규 등록신청에 대한 기준으로 맞는 것은?

시도지사에게 취득한 날로부터 2개월 이내 등록신청을 한다

 

건설기계 운전 중량 산정 조종사 1명의 체중?

65kg

 

 

건설기계를 주택가 주변에 세워 두어 교통 소통을 방해하거나 소음 등으로 주민의

생활환경을 침해한 자에 대한 벌칙?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건설기계 등록번호표

자가소유: 녹색판에 흰색 문자

사업용: 주황색 판에 흰색문자

관공서 소유: 흰색 판에 검은색 문자

 

 

건설기계 위치한 장소에서 검사를 받을 있는 건설기계

도서지역에 있는 경우

최고속도가 35km/h 미만

자체중량이 40t 초과하거나 중량이 10t 초과

너비가 2.5m 초과

 

적성검사 기준

언어분별력이 80퍼센트 이상

시각은 150 이상

 

정기 적성검사

최종면허를 받은 날을 기준으로 10년마다 정기 적성검사 신청서에 서류를

첨부하여 주소지 관할 시군구청장에게 제출

 

 

도로교통법 운전이 금지되는 술에 취한 상태의 기준?

혈중 알코올 농동 0.03% 이상

 

 

도로교통법상 정차 주차금지 장소?

도로의 모퉁이로부터 5m 이내의

교차로 가장자리로부터 5m 이내의

횡단보도로부터 10m 이내의

 

도로 교통법상 폭우, 폭설, 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일 최고속도의 감속기준은

50%

지게차 전면

 

마스트 (Mast)  돛대라는 의미로 지게차 옆을 보면 길게 솟아있다

롤러와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롤러와 체인이 작동하여 포크와 백레스트가 같이 위아래로 움직일 있다

 

백레스트 화물을 적재했을 운전자 쪽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철판

 

포크 파렛트 구멍에 넣어서 화물을 이동할 있게 해주는 지게차의 핵심 구조

 

 

지게차 옆면

 

 

평형추 지게차가 무거운 화물을 운반할 있게 해준다

만약 평형추가 없다면 지게차는 무거운 물건을 들자마자 무게 중심을 잃고 앞으로 고꾸라지거나 옆으로 기울어져 사고가 것이다

 

지게차는 일반적으로 후륜을 이용해 조향을 하며 전륜으로 구동 ( 엔진의 구동력을 전륜에 전달)

 

Lift레버를 뒤로 당기면 포크가 상승하며 앞으로 밀면 포크가 하강한다

Tilt레버를 뒤로 당기면 마스트가 뒤로 기울어지고 앞으로 밀면 마스트가 앞으로 기울어진다 

일반적인 지게차의 전경 / 후경: 5 ~ 6 / 10~12

 

리프트 레버 뒤로 당기면 포크 올라간다

리프트 레버 앞으로 밀면 포크 하강

틸트 레버 앞으로 마스트 앞으로 기운다

틸트 레버 뒤로 마스트 뒤로 기운다

전후진 레버 앞으로 전진

전후진 레버 뒤로 후진

 

지게차 실기 접수

지게차 면허증 발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