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수식
본문 바로가기

투자/컴활탈출기

배열수식

728x90
반응형

배열수식을 이용하면 다음의 두가지 조건이 필요한 수식을 계산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학년 2학년 3학년
남자      
여자      

첫번째 조건은 남자 or 여자, 두번째 조건은 학년이다. 이 두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값을 구할 때, 

배열수식을 이용하면 쉽고 빠르게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배열수식은 일단 크게 두 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첫째, large, small과 같이, 계산한 범위 외에 다른 인수가 필요한 함수 (인수 2개)

따라서, 배열함수 안에서는 인수 2개 외에 조건의 수만큼 많아지게 됩니다. (조건이 2개면 인수는 4개) 

 

=small ( (조건1) * (조건2) * (small함수가 찾을 범위), 1)  (제일 작은 숫자 찾을 때)

=small ( if(  (조건1) * (조건2), (small함수가 찾을 범위  ), 1 ) (제일 작은 숫자 찾을 때

 

둘째, sum, average, max, min 와 같이 계산할 범위만 있으면 되는 함수 (인수 1개, 조건이 2개면 배열함수는 인수 3개)

 

=average (    (조건1) * (조건2) * (average가 이용할 범위)    )

=average (    if( (조건1) * (조건2), (average가 이용할 범위) )   ) 

 

여기서 참고할 사항은 개수를 구할 때는 1를 넣어주면 됩니다. 

 

=sum (    (조건1) * (조건2) * 1    )

=sum (    if( (조건1) * (조건2), 1 )    ) 

 

제일 중요한 것은 수식작성을 끝내고 ctrl + shift + Enter 키를 눌러주어야 배열수식으로 작동합니다.

반응형